Mobility & Beyond - 자율주행과 그 너머

자율기술이 삶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


핵심 인터뷰: Laurie Yoler (Playground Global 벤처 파트너, 전 Tesla·Zoox 초기 멤버) × Emily Shao (McKinsey 파트너)
출처: McKinsey, Mobility and beyond: How autonomous technologies could transform lives (Aug 2025).

맥킨지 보고서 핵심 요약

상용화는 진행 중, 대중화는 아직: 일부 도시에서 로보택시가 운영되고 운전자 보조는 보편화됐지만, 완전 자율주행의 대중 보급은 기술·규제·신뢰 과제가 병목.

안전성 ‘교육’의 시간: 미국에서 연간 약 4만 명 교통사망—자율주행이 줄일 수 있는 손실로 거론되지만, 정책결정자와 시민의 체감 신뢰 형성이 관건.

Z세대의 ‘면허 이탈’: 1980년대 18세 면허 소지율 80~90% → 현재 약 50%. 소유보다 대체 이동수단(대중교통·라이드셰어·마이크로모빌리티) 선호가 뚜렷.

비즈니스 모델의 축 이동: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·서비스, 데이터 가치, 충전/저장 생태계로 확장. 중국은 배터리 스와핑 등 실험 활발.

소유형 L4는 비합리적: 고가 센서·라이다 비용 탓에 개인 차량보다는 로보택시 등 고가동(High Utilization) 모델이 경제성 유리. 개인용은 L2++ 안전기능 확산이 현실적.

왜 중요한가 (Policy & Industry Angle)

도시 규제 프레임 전환: 안전성과 공공 수용성에 대한 ‘사전 신뢰(Pre-trust) 구축’ 정책도구(시범구역·데이터 기반 안전지표 공개)가 성장 속도를 좌우.

수요 구조 변화 대응: 면허·소유 감소 + 공유증가는 주차·차고지 규제, 도로공간 재배분, 마이크로모빌리티 인프라 투자를 재설계하게 만듦.

산업 밸류체인 재편: 차량 판매 이익에서 OTA·구독·데이터 서비스로 수익 축 이동. 충전/저장/에너지 연계가 신규 수익원.

글로벌 경쟁지형: 중국의 정책·제조 역량 결합은 빠른 실험과 신모델 출현으로 이어짐—통상·지정학 변수에 따라 교차판매 구조가 달라질 수 있음.

인터뷰에서 뽑은 7가지 인사이트

기술·규제·신뢰의 삼각과제가 대중화의 마지막 관문.

안전성 내러티브를 수치·사례로 설명하는 ‘대국민 교육’이 필수.

Z세대 이동행태 전환—소유의 상징성 약화, 대체수단 다변화.

차량 내 경험은 영상 몰입보다 음성·통화·개인 시간 강화 쪽으로 현실화.

소프트웨어 정의 차량(SDV) 전환과 데이터 수익화 탐색 가속.

개인 소유 L4 비경제성공유·플릿 기반 L4 경제성.

자율의 확장: 도로를 넘어 로봇·드론·해양·우주까지 응용 영역 확대.

한국(도시·정책·산업)에의 시사점 (실행 체크리스트)

규제 샌드박스 2.0: 안전 KPI(충돌율, 개입율 등) 정기 공개 + 단계 허가제로 신뢰 축적.

공유·플릿 우선 전략: L4는 영업용·공유차량부터고가동 수익 모델 정착 후 개인 확산.

데이터 거버넌스: 차량·도로·에너지 데이터 표준화/접속규칙 정립으로 서비스·구독 모델 촉진.

충전/저장 인프라 결합: 가정·도심 고속충전 + 저장장치(ESS) 연계 인센티브 설계.

마이크로모빌리티 인프라: 전용차로·주차·보험/안전 규칙 정비로 Z세대 이동성 패턴 수용.